자상 후 혈역학적으로 안정한 하대정맥 관통손상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 after Inferior Vena Cava Penetrating Injury by Stab Wound
Article information
Body
74세 남자 환자가 자살 목적으로 회칼로 자신의 복부를 수상하여 응급실을 내원하였다. 내원 시 활력징후는 안정적이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배꼽 주변의 4 cm 정도의 개방성 자상을 보였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장간막에 출혈 및 하대정맥에 혈관 외 유출 소견을 보여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에서 장간막에 출혈과 소장의 손상이 보여 혈관 결찰술과 소장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하대정맥은 신장정맥의 분지 부위 하방에 혈관 전벽 손상이 의심되었으나(Fig. 1), 후복강에서 약 2 L 가량의 출혈과 하대정맥의 전벽을 역 Y자 모양으로 관통하여 후벽까지 포함하는 손상이 발견되었다. 스폰지스틱(sponge stick)으로 손상 부위 근위부 및 원위부를 눌러 혈류를 차단한 후, 후벽은 전벽 손상을 벌려서 단순연속봉합으로, 전벽은 이중으로 단순연속봉합을 사용하였다(Fig. 2, 3). 환자는 아스피린(aspirin)을 단독 복용하며 외래 추적 관찰을 하였고 수술 3개월 후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상 하대정맥의 협착 및 혈전 없이 회복을 보였다(Fig. 4). 복부 외상 환자 중 진단적 개복술을 받은 환자의 4% 미만에서 하대정맥손상이 발견되며, 이들은 60% 가량의 사망률을 보인다[1,2]. 하대정맥 손상은 빠른 수술적 치료가 중요하며 대부분 결찰 또는 일차봉합술이 수술방법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6년도 부산대학교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References
Notes
Conflicts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